Free Essay

Sadwe

In:

Submitted By sungsgb
Words 3098
Pages 13
SPSS 실습과제 1
(2011-2학기)

※가상대학에 게시된 예제 및 데이터를 참조하여 다음 과제를 해결하시오(단 REPORT는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작성하고, 컴퓨터 출력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내용을 포함해야 함).
※ REPORT 제출기한 : 10/12(수) 01:00시
※ REPORT 제출방법 : 가상대학의 과제물관리 이용

1. 표본의 업종별 분포에 대한 빈도표 및 pie chart를 작성하라. 통계량 | 업종 | N | 유효 | 80 | | 결측 | 0 |

업종 | | 빈도 | 퍼센트 | 유효 퍼센트 | 누적퍼센트 | 유효 | 제조업 | 19 | 23.8 | 23.8 | 23.8 | | 건설업 | 19 | 23.8 | 23.8 | 47.5 | | 금융업 | 20 | 25.0 | 25.0 | 72.5 | | 도소매업 | 17 | 21.3 | 21.3 | 93.8 | | 기타 | 5 | 6.3 | 6.3 | 100.0 | | 합계 | 80 | 100.0 | 100.0 | |

분석 - 기술통계 - 빈도분석을 통해 업종별 분포에 대한 빈도표를 얻었고 파이차트를 출력했다.

2. 종업원 수를 기준으로 100인 미만, 200인 미만, 200인 이상의 세 집단으로 나눈 새로운 변수(변수명: ‘종업원규모’)를 생성하고, ‘종업원규모’에 따라 기업의 상장 여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라.

귀무가설:종업원규모와 상장여부는 상호 독립적이다.

케이스 처리 요약 | | 케이스 | | 유효 | 결측 | 전체 | | N | 퍼센트 | N | 퍼센트 | N | 퍼센트 | 종업원규모 * 상장여부 | 80 | 100.0% | 0 | .0% | 80 | 100.0% |

종업원규모 * 상장여부 교차표 | | 상장여부 | 전체 | | 상장회사 | 비상장회사 | | 종업원규모 | 100인미만 | 빈도 | 20 | 7 | 27 | | | 종업원규모 중 % | 74.1% | 25.9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1.7% | 21.9% | 33.8% | | | 전체 % | 25.0% | 8.8% | 33.8% | | 100인이상200인미만 | 빈도 | 9 | 7 | 16 | | | 종업원규모 중 % | 56.3% | 43.8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18.8% | 21.9% | 20.0% | | | 전체 % | 11.3% | 8.8% | 20.0% | | 200인이상 | 빈도 | 19 | 18 | 37 | | | 종업원규모 중 % | 51.4% | 48.6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39.6% | 56.3% | 46.3% | | | 전체 % | 23.8% | 22.5% | 46.3% | 전체 | 빈도 | 48 | 32 | 80 | | 종업원규모 중 % | 60.0% | 40.0% | 100.0% | | 상장여부 중 % | 100.0% | 100.0% | 100.0% | | 전체 % | 60.0% | 40.0% | 100.0% |

카이제곱 검정 | | 값 | 자유도 | 점근 유의확률 (양측검정) | Pearson 카이제곱 | 3.475a | 2 | .176 | 우도비 | 3.583 | 2 | .167 | 선형 대 선형결합 | 3.213 | 1 | .073 | 유효 케이스 수 | 80 | | | a. 0 셀 (.0%)은(는) 5보다 작은 기대 빈도를 가지는 셀입니다. 최소 기대빈도는 6.40입니다. |

대칭적 측도 | | 값 | 점근 표준오차a | 근사 T 값b | 근사 유의확률 | 등간척도 대 등간척도 | Pearson의 R | .202 | .107 | 1.818 | .073c | 순서척도 대 순서척도 | Spearman 상관 | .199 | .107 | 1.793 | .077c | 유효 케이스 수 | 80 | | | | a. 영가설을 가정하지 않음. | b. 영가설을 가정하는 점근 표준오차 사용 | c. 정규 근사법 기초 |

데이터변환을 통해 종업원의 규모(종업원수 별로 세집단으로 나눔)란 변수를 만들었고
교차분석을통해 종업원규모가 기업의 상장과 얼마나 연관되어있는지 분석했다.
카이제곱 값은 3.475이고 자유도가 2일 때 P=.176 로 유의수준 5%에서 유의하지 않다. 따라서 두변수가 상호 독립적이라는 귀무가설이 채택된다. 즉, 종업원의규모와 상장여부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다고 보인다.

3.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간에 자본금 및 종업원 수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보라.

케이스 처리 요약 | | 케이스 | | 유효 | 결측 | 전체 | | N | 퍼센트 | N | 퍼센트 | N | 퍼센트 | 종업원수 * 상장여부 | 80 | 100.0% | 0 | .0% | 80 | 100.0% | 자본금 * 상장여부 | 80 | 100.0% | 0 | .0% | 80 | 100.0% |

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간 종업원수 차이

귀무가설:상장여부와 종업원수는 상호 독립적이다.

교차표 | | 상장여부 | 전체 | | 상장회사 | 비상장회사 | | 종업원수 | 3 | 빈도 | 0 | 1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5 | 빈도 | 1 | 0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7 | 빈도 | 3 | 0 | 3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6.3% | .0% | 3.8% | | | 전체 % | 3.8% | .0% | 3.8% | | 10 | 빈도 | 2 | 1 | 3 | | | 종업원수 중 % | 66.7% | 33.3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3.1% | 3.8% | | | 전체 % | 2.5% | 1.3% | 3.8% | | 11 | 빈도 | 0 | 1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22 | 빈도 | 0 | 1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30 | 빈도 | 1 | 0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40 | 빈도 | 3 | 0 | 3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6.3% | .0% | 3.8% | | | 전체 % | 3.8% | .0% | 3.8% | | 60 | 빈도 | 6 | 0 | 6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12.5% | .0% | 7.5% | | | 전체 % | 7.5% | .0% | 7.5% | | 75 | 빈도 | 1 | 0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80 | 빈도 | 0 | 3 | 3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9.4% | 3.8% | | | 전체 % | .0% | 3.8% | 3.8% | | 82 | 빈도 | 1 | 0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87 | 빈도 | 2 | 0 | 2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110 | 빈도 | 1 | 0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120 | 빈도 | 0 | 1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126 | 빈도 | 4 | 0 | 4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8.3% | .0% | 5.0% | | | 전체 % | 5.0% | .0% | 5.0% | | 140 | 빈도 | 0 | 1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144 | 빈도 | 2 | 0 | 2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150 | 빈도 | 0 | 3 | 3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9.4% | 3.8% | | | 전체 % | .0% | 3.8% | 3.8% | | 152 | 빈도 | 0 | 2 | 2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6.3% | 2.5% | | | 전체 % | .0% | 2.5% | 2.5% | | 160 | 빈도 | 2 | 0 | 2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200 | 빈도 | 3 | 2 | 5 | | | 종업원수 중 % | 60.0% | 4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6.3% | 6.3% | 6.3% | | | 전체 % | 3.8% | 2.5% | 6.3% | | 240 | 빈도 | 1 | 0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276 | 빈도 | 0 | 3 | 3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9.4% | 3.8% | | | 전체 % | .0% | 3.8% | 3.8% | | 300 | 빈도 | 2 | 3 | 5 | | | 종업원수 중 % | 40.0% | 6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9.4% | 6.3% | | | 전체 % | 2.5% | 3.8% | 6.3% | | 350 | 빈도 | 2 | 0 | 2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400 | 빈도 | 0 | 2 | 2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6.3% | 2.5% | | | 전체 % | .0% | 2.5% | 2.5% | | 432 | 빈도 | 1 | 0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450 | 빈도 | 1 | 0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455 | 빈도 | 0 | 1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550 | 빈도 | 2 | 0 | 2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600 | 빈도 | 0 | 2 | 2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6.3% | 2.5% | | | 전체 % | .0% | 2.5% | 2.5% | | 700 | 빈도 | 0 | 1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840 | 빈도 | 0 | 3 | 3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9.4% | 3.8% | | | 전체 % | .0% | 3.8% | 3.8% | | 1037 | 빈도 | 1 | 0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1500 | 빈도 | 0 | 1 | 1 | | | 종업원수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6000 | 빈도 | 3 | 0 | 3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6.3% | .0% | 3.8% | | | 전체 % | 3.8% | .0% | 3.8% | | 23137 | 빈도 | 3 | 0 | 3 | | | 종업원수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6.3% | .0% | 3.8% | | | 전체 % | 3.8% | .0% | 3.8% | 전체 | 빈도 | 48 | 32 | 80 | | 종업원수 중 % | 60.0% | 40.0% | 100.0% | | 상장여부 중 % | 100.0% | 100.0% | 100.0% | | 전체 % | 60.0% | 40.0% | 100.0% |

카이제곱 검정 | | 값 | 자유도 | 점근 유의확률 (양측검정) | Pearson 카이제곱 | 67.222a | 37 | .002 | 우도비 | 90.403 | 37 | .000 | 선형 대 선형결합 | 2.577 | 1 | .108 | 유효 케이스 수 | 80 | | | a. 76 셀 (100.0%)은(는) 5보다 작은 기대 빈도를 가지는 셀입니다. 최소 기대빈도는 .40입니다. |

대칭적 측도 | | 값 | 점근 표준오차a | 근사 T 값b | 근사 유의확률 | 등간척도 대 등간척도 | Pearson의 R | -.181 | .048 | -1.622 | .109c | 순서척도 대 순서척도 | Spearman 상관 | .159 | .109 | 1.424 | .158c | 유효 케이스 수 | 80 | | | | a. 영가설을 가정하지 않음. | b. 영가설을 가정하는 점근 표준오차 사용 | c. 정규 근사법 기초 |

교차분석을통해 종업원수가 기업의 상장과 얼마나 연관되어있는지 분석했다.
카이제곱 값은 67.222이고 자유도가 37일 때 P=.002 로 유의수준 5%에서 유의 한다. 따라서 두변수가 상호 독립적이라는 귀무가설이 기각된다. 즉, 종업원의수와 상장여부 사이에는 관련성이 있다고 보인다.

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간 자본금 차이

귀무가설:상장여부와 자본금은 상호 독립적이다.

교차표 | | 상장여부 | 전체 | | 상장회사 | 비상장회사 | | 자본금 | 1 | 빈도 | 0 | 1 | 1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2 | 빈도 | 2 | 0 | 2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3 | 빈도 | 0 | 1 | 1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4 | 빈도 | 1 | 0 | 1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8 | 빈도 | 0 | 1 | 1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10 | 빈도 | 7 | 1 | 8 | | | 자본금 중 % | 87.5% | 12.5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14.6% | 3.1% | 10.0% | | | 전체 % | 8.8% | 1.3% | 10.0% | | 18 | 빈도 | 1 | 0 | 1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20 | 빈도 | 1 | 0 | 1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25 | 빈도 | 2 | 0 | 2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30 | 빈도 | 6 | 1 | 7 | | | 자본금 중 % | 85.7% | 14.3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12.5% | 3.1% | 8.8% | | | 전체 % | 7.5% | 1.3% | 8.8% | | 35 | 빈도 | 3 | 0 | 3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6.3% | .0% | 3.8% | | | 전체 % | 3.8% | .0% | 3.8% | | 37 | 빈도 | 1 | 0 | 1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45 | 빈도 | 0 | 1 | 1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50 | 빈도 | 5 | 3 | 8 | | | 자본금 중 % | 62.5% | 37.5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10.4% | 9.4% | 10.0% | | | 전체 % | 6.3% | 3.8% | 10.0% | | 55 | 빈도 | 2 | 0 | 2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70 | 빈도 | 3 | 0 | 3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6.3% | .0% | 3.8% | | | 전체 % | 3.8% | .0% | 3.8% | | 82 | 빈도 | 0 | 1 | 1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| 84 | 빈도 | 0 | 2 | 2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6.3% | 2.5% | | | 전체 % | .0% | 2.5% | 2.5% | | 100 | 빈도 | 2 | 3 | 5 | | | 자본금 중 % | 40.0% | 6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9.4% | 6.3% | | | 전체 % | 2.5% | 3.8% | 6.3% | | 115 | 빈도 | 0 | 3 | 3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9.4% | 3.8% | | | 전체 % | .0% | 3.8% | 3.8% | | 120 | 빈도 | 1 | 0 | 1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125 | 빈도 | 1 | 0 | 1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.0% | 1.3% | | | 전체 % | 1.3% | .0% | 1.3% | | 152 | 빈도 | 0 | 2 | 2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6.3% | 2.5% | | | 전체 % | .0% | 2.5% | 2.5% | | 172 | 빈도 | 0 | 3 | 3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9.4% | 3.8% | | | 전체 % | .0% | 3.8% | 3.8% | | 200 | 빈도 | 1 | 3 | 4 | | | 자본금 중 % | 25.0% | 75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2.1% | 9.4% | 5.0% | | | 전체 % | 1.3% | 3.8% | 5.0% | | 210 | 빈도 | 0 | 3 | 3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9.4% | 3.8% | | | 전체 % | .0% | 3.8% | 3.8% | | 212 | 빈도 | 3 | 0 | 3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6.3% | .0% | 3.8% | | | 전체 % | 3.8% | .0% | 3.8% | | 268 | 빈도 | 0 | 2 | 2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6.3% | 2.5% | | | 전체 % | .0% | 2.5% | 2.5% | | 364 | 빈도 | 2 | 0 | 2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575 | 빈도 | 2 | 0 | 2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650 | 빈도 | 2 | 0 | 2 | | | 자본금 중 % | 100.0% | 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4.2% | .0% | 2.5% | | | 전체 % | 2.5% | .0% | 2.5% | | 3000 | 빈도 | 0 | 1 | 1 | | | 자본금 중 % | .0% | 100.0% | 100.0% | | | 상장여부 중 % | .0% | 3.1% | 1.3% | | | 전체 % | .0% | 1.3% | 1.3% | 전체 | 빈도 | 48 | 32 | 80 | | 자본금 중 % | 60.0% | 40.0% | 100.0% | | 상장여부 중 % | 100.0% | 100.0% | 100.0% | | 전체 % | 60.0% | 40.0% | 100.0% |

카이제곱 검정 | | 값 | 자유도 | 점근 유의확률 (양측검정) | Pearson 카이제곱 | 56.845a | 31 | .003 | 우도비 | 74.098 | 31 | .000 | 선형 대 선형결합 | 1.406 | 1 | .236 | 유효 케이스 수 | 80 | | | a. 64 셀 (100.0%)은(는) 5보다 작은 기대 빈도를 가지는 셀입니다. 최소 기대빈도는 .40입니다. |

대칭적 측도 | | 값 | 점근 표준오차a | 근사 T 값b | 근사 유의확률 | 등간척도 대 등간척도 | Pearson의 R | .133 | .081 | 1.189 | .238c | 순서척도 대 순서척도 | Spearman 상관 | .258 | .110 | 2.363 | .021c | 유효 케이스 수 | 80 | | | | a. 영가설을 가정하지 않음. | b. 영가설을 가정하는 점근 표준오차 사용 | c. 정규 근사법 기초 |

교차분석을통해 자본금이 기업의 상장과 얼마나 연관되어있는지 분석했다.
카이제곱 값은 56.845이고 자유도가 31일 때 P=.003 로 유의수준 5%에서 유의 한다. 따라서 두변수가 상호 독립적이라는 귀무가설이 기각된다. 즉,자본금과 상장여부 사이에는 관련성이 있다고 보인다.

4.먼저 회사 운영상의 애로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, ‘종업원규모’에 따라 애로요인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지 검토해보라.

통계량 | | 자금조달 | 인건비상승 | 종업원채용 | 정부규제 | 과당경쟁 | 시장개방 | N | 유효 | 80 | 80 | 80 | 80 | 80 | 80 | | 결측 | 0 | 0 | 0 | 0 | 0 | 0 | 평균 | 1.60 | .93 | 1.13 | 1.00 | .76 | .59 | 표준편차 | 1.197 | .897 | 1.048 | 1.273 | 1.183 | 1.064 | 분산 | 1.433 | .804 | 1.098 | 1.620 | 1.399 | 1.131 |

통계량으로 미루어보아 애로요인 중 가장 큰 어려움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은 자금조달이며
순서대로 종업원채용, 정부규제, 인건비상승, 과당경쟁, 시장개방 순으로 어려움이 적어진다.
어려운 1순위를 숫자3,2순위를 숫자2,3순위를 숫자1로 나타냈으므로 평균값이 클수록 어렵다고 볼 수 있다.

$NewPRo*종업원규모 교차표b | | 종업원규모 | 합계 | | 100인미만 | 100인이상200인미만 | 200인이상 | | 어려웠던 상황a | 자금조달 | 총계 | 25 | 5 | 30 | 60 | | | $NewPRo 중 % | 41.7% | 8.3% | 50.0% | | | | 종업원규모 중 % | 30.9% | 10.4% | 27.0% | | | | 전체 중 % | 10.4% | 2.1% | 12.5% | 25.0% | | 인건비상승 | 총계 | 16 | 7 | 22 | 45 | | | $NewPRo 중 % | 35.6% | 15.6% | 48.9% | | | | 종업원규모 중 % | 19.8% | 14.6% | 19.8% | | | | 전체 중 % | 6.7% | 2.9% | 9.2% | 18.8% | | 종업원채용 | 총계 | 18 | 11 | 22 | 51 | | | $NewPRo 중 % | 35.3% | 21.6% | 43.1% | | | | 종업원규모 중 % | 22.2% | 22.9% | 19.8% | | | | 전체 중 % | 7.5% | 4.6% | 9.2% | 21.3% | | 정부규제 | 총계 | 7 | 13 | 14 | 34 | | | $NewPRo 중 % | 20.6% | 38.2% | 41.2% | | | | 종업원규모 중 % | 8.6% | 27.1% | 12.6% | | | | 전체 중 % | 2.9% | 5.4% | 5.8% | 14.2% | | 과당경쟁 | 총계 | 9 | 7 | 11 | 27 | | | $NewPRo 중 % | 33.3% | 25.9% | 40.7% | | | | 종업원규모 중 % | 11.1% | 14.6% | 9.9% | | | | 전체 중 % | 3.8% | 2.9% | 4.6% | 11.3% | | 시장개방 | 총계 | 6 | 5 | 12 | 23 | | | $NewPRo 중 % | 26.1% | 21.7% | 52.2% | | | | 종업원규모 중 % | 7.4% | 10.4% | 10.8% | | | | 전체 중 % | 2.5% | 2.1% | 5.0% | 9.6% | 합계 | 총계 | 81 | 48 | 111 | 240 | | 전체 중 % | 33.8% | 20.0% | 46.3% | 100.0% | 퍼센트 및 합계는 응답을 기준으로 합니다. | a. 대응 집단 | b. 대응에 대한 다중 응답 집단이 2 미만으로 충분하지 않습니다. 퍼센트는 응답을 기준으로 하지만, 대응은 수행되지 않습니다. |

범주형 응답처리 를 해 다중응답 계를 내었다.

NewPro( 각상황별 합계)를 종업원규모와 교차분석하였고

교차표를 통하여 종업원의규모에 따른 애로요인의 차이는 없는것으로 보인다

5. 다음 변수를 생성하여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, 최대값, 최소값을 구해보라.
1) 전산시스템 활용년수(2011년도 기준): 변수명은 ‘전산활용년수’로 통일

기술통계량 | | N | 최소값 | 최대값 | 평균 | 표준편차 | 전산활용년수 | 79 | 19 | 33 | 24.61 | 3.473 | 유효수 (목록별) | 79 | | | | |

변수계산을 통해 2011- 전산도입년도를 입력해 결과를 얻어낸후 기술통계를하였다.
결측값이 1개 있어 총개수가 79이다
2)2009년도 및 2010년도의 전년 대비 매출액 증가율: 변수명은 각각 ‘매출액증가율2009’, ‘매출액증가율2010’으로 통일

매출증가율2009 기술통계량 | | N | 최소값 | 최대값 | 평균 | 표준편차 | 매출액증가율2009 | 79 | 66.667 | 300.000 | 131.71738 | 46.674211 | 유효수 (목록별) | 79 | | | | | 단위:퍼센트

매출증가율2010

기술통계량 | | N | 최소값 | 최대값 | 평균 | 표준편차 | 매출액증가율2010 | 79 | 84.91 | 200.00 | 120.9658 | 26.03557 | 유효수 (목록별) | 79 | | | | | 단위:퍼센트

변수계산을 통해 매출액2009/매출액2008 *100 을 하여 수치를 구하고 기술통계를 하였다.
변수계산을 통해 매출액2010/매출액2009 *100 을 하여 수치를 구하고 기술통계를 하였다.
결측값 때문에 총개가 79이다

Similar Documents